The purpose of the hospital space is to build a human relationship that covers patients.
병원 인테리어는 환자들에게 치료의 상승효과는 물론 치유의 의지를 북돋아주는 병원의 관대한 포용력이 있어야 합니다. 건축이라는 하드웨어와 의료전략과 계획이라는 소프트웨어가 상호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환자를 포함한 임직원 등 모든이가 만족하는 병원이 되도록 노력합니다.
최근 의료계는 기술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치료의 품질과 환자의 경험을 향상 시키면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인간 중심의 스마트 병원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는 점점 더 환자중심의 의료로 나아가며, 환자들은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장·단기적 입원에 있어 병원의 공간 및 환경 또한 단순히 물리적 구조가 아닌 사회화가 일어나는 이용자로서 주체적 역할의 당위성을 필요로 합니다.
병원 내 공간은 개인정보보호와 진료를 비롯 입원에서부터 퇴원까지 단계별 특성 요소에 따라 물리적인 공간에서 벗어나 서비스적인 형태로 변화되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심리적 불안요소를 유발하는 환경을 제어하고, 기능과 목적성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환자의 질병 및 병원특성에 따라 치유의 기능적 공간으로 변화가 필요합니다.
시대는 흐르고 스타일은 바뀝니다. 교육환경은 빠르게 전환되며, 현재 스마트 학습환경 조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학교 인테리어는 공간의 다양성을 최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합니다. 표준화된, 획일적인 공간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사고를 접하며 개인의 가치관을 정립할 수 없으며 성적 혹은 돈과 같은 일부 기준에 매몰되고, 이는 사회를 병들게 합니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교내에 자연을 도입하는 인테리어를 저희 남영은 권합니다. 매일 날씨가 바뀌고, 시간과 계절에 따라 풍경이 달라지면 학생들은 여유를 얻을 수 있어 학습 능력도 배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powerful interior design group - NAMYOUNG
COMMERCIAL & WORKPLACE
Commercial space and work space interior design starts with branding.
상업공간 인테리어는 브랜딩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공간 전략의 유무가 매출과 직결되어 사업의 성공여부가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남영의 상업공간과 업무공간 인테리어에서는 단순하게 좋은 자재, 믿을 수 있는 시공을 한 단계 뛰어넘어 공간전략을 세우고 고객의 공간경험을 디자인합니다.
하나의 공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니즈, 컨셉 스타일이 묻어나는 공간입니다. 이러한 공간을 인테리어하는 것은 단순한 접근의 리모델링으로 끝날 수는 없습니다.
브랜드 특성을 탐구하고 그에 맞는 자재와 동선, 컨셉을 고민하는 남영는 모든 고객이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공간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합니다.
모든 기업들은 건강과 안전을 우선시하는 업무공간을 최소한의 요구 사항으로 여깁니다. 최적화된 냉난방공조 시스템, 더욱 개선된 청소 서비스, 사회적 거리 조치가 이제 모든 회사의 필수 조건이 되었습니다.
오피스는 집에서 불가능한 업무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더불어 직원들은 업무 장소, 업무 시간과 업무 방식에 있어 더 큰 유연성이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오피스는 회사와 직원 모두에게 집에서 불가능한 업무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비즈니스마다 이러한 환경의 모습은 다르기 때문에 혁신적이고 관리가 간편하며 비용 효과적인 디자인으로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업무공간은 뚜렷한 장점이 됩니다.
powerful interior design group - NAMYOUNG
HOUSES & RESIDENCE
Focus on practical design that fits the trend but also lifestyle.
주거 환경은 실용적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적 기능이 고려되어야 하는 공간으로서, 사용자의 감성이 고려된 설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남영는 주거 공간의 외부적 요소와 사용자의 주관적인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최종적으로는 주거공간의 고급감과 만족감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합니다.
최근 희소성, 가치관, 자아실현 등 개인의 욕구와 취향을 중시하는 소비형태가 주요 사회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주거 환경도 나만의 가치를 담아내는 공간을 추구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주거공간으로까지 확대되면서 차별화된 인테리어 및 공간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실내 인테리어, 인테리어 소품, 가구 등 관련 업계의 성장도 두드러지고 있으며 단순 공간 구획이 아닌, 공간의 유연성이 극대화되고 각종 첨단 스마트 기술들이 접목되면서 주거공간이 가지는 기능과 잠재성은 그 어느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powerful interior design group - NAMYOUNG
PUBLIC INSTITUTIONS
We pursue ergonomic interior design considering human emotions.
공공기관 인테리어의 경우 국가의 주요한 자산인 공공건축의 공공적 가치 구현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에 지정된 합리적인 예산계획에 따라 적정한 수준의 기획 및 설계 품질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하는데 남영는 부합하는 업무 실행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생산성에 인간 삶의 질에 측면에서 개선하는 디자인 활동인 공공기관 인테리어 디자인은 다수의 문화적 감수성과 선택의 안목을 높여 궁극적으로 문화적인 인프라를 확장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는데 이 문화적 기반은 앞으로 우리가 하나하나 풀어나가야 할 숙제입니다.
합목적성에 가깝게 디자인 설계된 공공기관의 공간이 늘어날수록 우리들의 환경은 점점 좋아질 것으로 믿습니다. 공공기관의 공간은 개개인이 공공디자인에 대한 의식 확립이 정확해야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조직과 공간이 연동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현재와 미래는 유기적으로 변화되고 움직이면서 변화하는 시기로 업무와 자기변화의 요건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습니다.
조직적 공간의 퇴출은 정보화 시대와 관련됩니다. 정보화 시대는 대체로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속도의 무한한 증가와 시간의 축소, 접속성과 공간의 축소, 무형적인 것의 우세가 그 특징으로 이러한 상황은 엄청나게 가속화 된 가변성을 낳으며 이러한 가변성에의 적응이 정보화시대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대에는 조직이나 개인이 경량화 함으로서 변화에 그때 그때 재빠르고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운영방식에 관련되는 것으로 자기조직화의 원리가 있습니다.
이는 아래로부터 위로 작용하는 운영방식으로서 그 핵심은 자유로운 선택권을 가진 각 구성원들이 스스로를 창조적으로 구성하도록 조건을 조성하는 데 있습니다.